수원 아파트 시세: 최신 TOP10 및 흐름
마지막 페이지에서는 수원 아파트 투자에 대한 일반적인 검토 사항을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내 집 마련이든, 투자든 너무 세세하게 파고 들면서 기본적인 것들이 무시 되는 일이 많습니다.
본 글에 실린 투자 전략과 리스크 관리는 기본 개념이기 때문에 꼭 유념해 두시길 바랍니다.
글 하단에 수원 아파트 구별 TOP 50 파일을 첨부 했으니, 필요하신 분은 다운로드 하시기 바랍니다.
경기 도청에서 제공하는 ‘정비 사업 추진 현황’ 링크도 첨부 하였으니, 수원 뿐만 아니라 관심 있는 주변 경기 지역의 재개발, 재건축 진행 현황도 점검해 보시기 바랍니다.
수원 아파트 시세와 투자 전략
수원 아파트 시세의 지속적인 상승세는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인 기회를 제공합니다. 그러나 투자를 고려할 때는 몇 가지 전략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 지역 분석: 수원 내에서도 지역별로 시세 차이가 크기 때문에, 철저한 지역 분석이 필요합니다.
장안구와 권선구는 상대적으로 저렴한 시세를 보이고 있으나, 재개발 가능성이 높은 지역을 중심으로 투자를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영통구와 팔달구는 이미 높은 시세를 기록하고 있지만, 상대적으로 우수한 주거 환경이 있기에 신축 또는 준신축(10년 이내) 아파트를 검토해 보는 것도 좋은 방법일 수 있습니다.
사업단계 | 사업유형 | 정비구역명 | 위치 | 구역면적 (㎡) | 기존주택 준공년도 | 현 추진사항 |
---|---|---|---|---|---|---|
예정구역 | 재건축 | 파장1(삼익아파트) | 장안구 파장동 212-5일원 | 10,737 | 1978 | 정비구역지정 준비중 |
예정구역 | 재건축 | 세류1(미영아파트) | 권선구 세류동 1147일원 | 28,654 | 1989 | 2026년 안전진단 추진 예정 |
예정구역 | 재건축 | 구운1(삼환아파트) | 권선구 구운동 462일원 | 67,751 | 1991 | 추진위원회 준비 중 |
사업시행 | 재건축 | 권선 1구역(동남아파트) | 권선구 서둔동 361 | 16,525 | 1987 | 관리처분계획인가 준비 중 |
사업시행 | 재건축 | 권선 2구역(성일아파트) | 권선구 서둔동 361-1 | 16,524 | 1987 | 관리처분계획인가 준비 중 |
관리처분 | 재개발 | 111-3 | 장안구 영화동 93-6일원 | 28,863 | 1942-2006 | 이주 및 철거 중 |
착공 | 주거환경개선 | 113-7구역(평동지구) | 권선구 평동 35-6 일원 | 153,215 | 1900~1980 | 도로개설(확폭) 공사 중 |
착공 | 재개발 | 113-6 | 권선구 세류동 817-72일원 | 126,336 | 1978~2005 | 일반분양/착공 |
착공 | 재개발 | 111-1 | 장안구 정자동 530-6일원 | 138,401 | 1950~2005 | 일반분양/착공 |
착공 | 재개발 | 113-12 | 권선구 오목천동 482-2일원 | 44,759 | 1978~2005 | 부분준공인가 |
준공 | 재개발 | 111-4 | 장안구 조원동 431-2일원 | 35,739 | 1972~2005 | 조합해산 완료 |
준공 | 재건축 | 111-5구역 | 장안구 연무동 224 일원 | 53,074 | 1983 | 이전고시 준비 중 |
수원시의 자세한 지역분석은 추후 업데이트 하도록 하겠습니다.
- 미래 개발 계획: 수원시는 다양한 개발 계획이 진행 중입니다. 수원역 주변의 개발 계획이나 광교신도시의 확장 계획 등은 향후 시세 상승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개발 계획을 미리 파악하고 투자에 반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수원 도시개발계획과 진행 현황에 대해서도 자세히 업데이트 하도록 하겠습니다. - 교육 환경: 수원은 교육 환경이 우수한 지역 중 하나로, 학군 수요가 높습니다. 특히, 명문 학교와 인접한 지역의 아파트는 꾸준한 수요가 예상되므로, 이러한 지역에 투자하는 것도 좋은 전략이 될 수 있습니다.
- 교통 인프라: 교통 인프라의 개선은 아파트 시세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수원시의 경우, 향후 교통 인프라 개선이 예정된 지역을 중심으로 투자를 고려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본 포스팅에 관심과 응원을 주시면, 수원시의 지역분석 및 입지분석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업데이트 하도록 하겠습니다. 혹은 “문의하기”를 통해 요청을 주시는 분이 계시면 바로 분석 작업에 들어가도록 하겠습니다.
수원 아파트 시장의 리스크 관리
수원 아파트 시장에 투자할 때는 리스크 관리도 중요합니다. 다음과 같은 리스크 요인들을 염두에 두고 대비책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정책 변화: 부동산 시장은 정부의 정책 변화에 큰 영향을 받습니다.
부동산 규제 강화나 세제 변화 등이 시세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부 정책의 변화를 주시하고 이에 따른 대응 전략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금리 변화: 금리 변화는 부동산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금리가 상승하면 주택담보대출 이자 부담이 증가하여 아파트 수요가 감소할 수 있습니다.
금리 변동에 대한 예측과 이에 따른 리스크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합니다. - 경제 상황: 지역 경제의 변화는 부동산 시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삼성전자와 같은 주요 기업의 경영 실적이나 지역 경제 성장률 등의 변화를 주시하고, 이에 따른 대응 전략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공급 과잉: 신규 아파트 공급이 과도하게 이루어질 경우, 시세 하락의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수원시는 현재 공급이 제한적이지만, 향후 공급 계획을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이에 따른 리스크를 관리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와 관련하여, 수원을 비롯한 “경기도의 입주물량과 가격의 상관 관계”에 대한 포스팅을 참조 하시기 바랍니다.
지역 및 단지별 세부 입주 물량은 “최신 전국 아파트 단지별 입주 물량 차트: 2024년 8월 기준“ 포스팅의 첨부 파일을 참조 바랍니다.
2024년 7월 기준으로 수원 부동산 시장의 리스크는 크지 않아 보입니다. 다만, 실제 리스크의 가능성에 대해서는 세심한 분석이 바탕이 되어야 합니다.
결론
수원 아파트 시세는 경제 성장, 교통 인프라 개선, 교육 환경 등의 다양한 요인에 의해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상승세는 이러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며, 앞으로도 긍정적인 전망이 예상됩니다.
수원시에 거주하거나 투자할 계획이 있는 분들은 이러한 시세 변동 요인들을 잘 이해하고, 신중하게 접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수원시는 앞으로도 주거 환경이 더욱 개선되고, 아파트 시세도 지속적으로 상승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장기적인 안목을 가지고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수원 아파트 시장의 현황과 전망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적절한 투자 전략을 세운다면 안정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리스크 요인들을 철저히 관리하고 변화하는 시장 상황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자세도 필요합니다. 부동산 투자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접근해야 하며, 신중한 계획과 지속적인 시장 분석이 성공의 열쇠가 될 것입니다.
첨부 파일 링크
구글 스프레드 시트로 작업 되어 있는 2024년 7월 기준 수원의 구별 아파트 TOP 50 순위 입니다. 시세총액과 평당가 기준으로 각각 TOP50 아파트와 세부 내용이 들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