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아파트 시세(최신 아파트 TOP 50 파일 첨부)
동구, 서구에 이어 남은 구의 TOP 10도 마저 알아 보겠습니다. 광주광역시의 구별 시세 분석과 전망에 대해 일반적인 시각으로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시세 분석’과 ‘전망’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은 내 집 마련이나, 투자 하기 전에 꼭 유념해야 할 바탕이 되는 내용입니다.
간혹 관심 있는 아파트나 입지에 대해 세세하게 분석을 하는 과정에서 간과하는 일이 있는데 기본은 반드시 확인하는 습관을 갖길 바랍니다.
‘광주광역시 전체 TOP 50’와 ‘광주광역시 구별 아파트 TOP 50’ 파일을 페이지 하단에 첨부 했으니 필요하신 분은 다운로드 하시기 바랍니다.
남구 아파트 TOP 10: ‘24.7월 VS ‘24.9월
남구는 광주광역시에서 구별 평당 시세가 가장 높은 지역 입니다. 그 중 시세 총액 1위는 포스코더샵으로 약 1조원 정도 입니다.
남구 2024년 7월 시세 총액 기준
순위 | 아파트명 | 시세총액 | 평당시세 | 세대수 | 준공년월 |
1 | 포스코더샵 | 0.91조 | 2,093만원 | 1,140세대 | 04년 12월 (21년차) |
2 | 한국아델리움(1단지) | 0.64조 | 2,890만원 | 410세대 | 06년 10월 (19년차) |
3 | 쌍용스윗닷홈 | 0.61조 | 2,588만원 | 425세대 | 05년 06월 (20년차) |
4 | 효천시티프라디움 | 0.55조 | 1,476만원 | 1,164세대 | 19년 06월 (6년차) |
5 | 반도유보라더퍼스트 | 0.39조 | 1,554만원 | 811세대 | 21년 09월 (4년차) |
6 | 효천1중흥S-클래스에코시티 | 0.38조 | 1,380만원 | 832세대 | 19년 01월 (6년차) |
7 | 봉선2차남양휴튼 | 0.37조 | 2,406만원 | 309세대 | 11년 01월 (14년차) |
8 | 무등산센트럴파크 | 0.36조 | 1,153만원 | 1,071세대 | 09년 08월 (16년차) |
9 | 금호타운(2차) | 0.35조 | 1,584만원 | 602세대 | 95년 06월 (30년차) |
10 | 양림1단지휴먼시아 | 0.35조 | 1,057만원 | 987세대 | 08년 09월 (17년차) |
남구 2024년 9월 시세 총액 기준
순위 | 아파트명 | 시세총액 | 평당시세 | 세대수 | 준공년월 |
1 | 포스코더샵 | 0.91조 | 2,093만원 | 1,140세대 | 04년 12월 (21년차) |
2 | 한국아델리움(1단지) | 0.64조 | 2,890만원 | 410세대 | 06년 10월 (19년차) |
3 | 쌍용스윗닷홈 | 0.61조 | 2,611만원 | 425세대 | 05년 06월 (20년차) |
4 | 효천시티프라디움 | 0.55조 | 1,476만원 | 1,164세대 | 19년 06월 (6년차) |
5 | 반도유보라더퍼스트 | 0.39조 | 1,554만원 | 811세대 | 21년 09월 (4년차) |
6 | 효천1중흥S-클래스에코시티 | 0.38조 | 1,380만원 | 832세대 | 19년 01월 (6년차) |
7 | 봉선2차남양휴튼 | 0.37조 | 2,406만원 | 309세대 | 11년 01월 (14년차) |
8 | 무등산센트럴파크 | 0.36조 | 1,153만원 | 1,071세대 | 09년 08월 (16년차) |
9 | 양림1단지휴먼시아 | 0.35조 | 1,057만원 | 987세대 | 08년 09월 (17년차) |
10 | 금호타운(2차) | 0.34조 | 1,516만원 | 602세대 | 95년 06월 (30년차) |
남구의 TOP10 단지들도 거의 시세총액 변화가 없습니다.
남구 2024년 7월 평당 시세 기준
순위 | 아파트명 | 시세총액 | 평당시세 | 세대수 | 준공년월 |
1 | 한국아델리움(1단지) | 0.64조 | 2,890만원 | 410세대 | 06년 10월 (19년차) |
2 | 한국아델리움(2단지) | 0.10조 | 2,774만원 | 74세대 | 06년 10월 (19년차) |
3 | 쌍용스윗닷홈 | 0.61조 | 2,588만원 | 425세대 | 05년 06월 (20년차) |
4 | 봉선동제일풍경채엘리트파크 | 0.34조 | 2,471만원 | 400세대 | 16년 12월 (9년차) |
5 | 봉선3차한국아델리움 | 0.25조 | 2,440만원 | 279세대 | 14년 11월 (11년차) |
6 | 봉선2차남양휴튼 | 0.37조 | 2,406만원 | 309세대 | 11년 01월 (14년차) |
7 | 봉선더쉴1,2단지 | 0.19조 | 2,334만원 | 164세대 | 09년 12월 (16년차) |
8 | 봉선1차남양휴튼 | 0.22조 | 2,308만원 | 200세대 | 09년 02월 (16년차) |
9 | 포스코더샵 | 0.91조 | 2,093만원 | 1,140세대 | 04년 12월 (21년차) |
10 | 모아엘가 | 0.08조 | 1,788만원 | 128세대 | 08년 11월 (17년차) |
남구에서 평당 시세가 가장 높은 지역은 봉선동 입니다. 광주의 대표적인 학군 지역 입니다.
남구의 특징 중 하나는 1천 세대가 넘는 단지가 4개 밖에 없다는 것입니다. 포스코더샵(1,140세대), 효천시티프라디움(1,164세대), 무등산센트럴파크(1,071세대), 라인하이츠(1,132세대) 입니다. 이 단지들의 위치는 남구의 중심인 봉선동의 외곽에 위치해 있습니다.
봉선동에는 대규모 단지가 들어설 땅이 없다는 의미 입니다. 1천 세대가 넘는 단지들 중 라인하이츠가 봉선동에 위치해 있습니다. 이 단지는 약 40년 된 오래된 아파트 입니다. 이 단지가 재건축 되면 많은 수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 됩니다.
평당 시세로 1위는 한국아델리움(1단지)로 2,890만원 입니다.
남구 2024년 9월 평당 시세 기준
순위 | 아파트명 | 시세총액 | 평당시세 | 세대수 | 준공년월 |
1 | 한국아델리움(1단지) | 0.64조 | 2,890만원 | 410세대 | 06년 10월 (19년차) |
2 | 한국아델리움(2단지) | 0.10조 | 2,774만원 | 74세대 | 06년 10월 (19년차) |
3 | 쌍용스윗닷홈 | 0.61조 | 2,611만원 | 425세대 | 05년 06월 (20년차) |
4 | 봉선동제일풍경채엘리트파크 | 0.34조 | 2,471만원 | 400세대 | 16년 12월 (9년차) |
5 | 봉선3차한국아델리움 | 0.25조 | 2,440만원 | 279세대 | 14년 11월 (11년차) |
6 | 봉선2차남양휴튼 | 0.37조 | 2,406만원 | 309세대 | 11년 01월 (14년차) |
7 | 봉선더쉴1,2단지 | 0.19조 | 2,334만원 | 164세대 | 09년 12월 (16년차) |
8 | 봉선1차남양휴튼 | 0.22조 | 2,271만원 | 200세대 | 09년 02월 (16년차) |
9 | 포스코더샵 | 0.91조 | 2,093만원 | 1,140세대 | 04년 12월 (21년차) |
10 | 모아엘가 | 0.08조 | 1,788만원 | 128세대 | 08년 11월 (17년차) |
남구의 평당가 TOP10 단지들도 시세총액과 마찬가지로 큰 변화가 없습니다.
북구 아파트 TOP 10: ‘24.7월 VS ‘24.9월
북구 2024년 7월 시세 총액 기준
순위 | 아파트명 | 시세총액 | 평당시세 | 세대수 | 준공년월 |
1 | 제일풍경채센트럴파크1단지 | 0.64조 | 1,745만원 | 1,070세대 | 22년 02월 (3년차) |
2 | 힐스테이트연제 | 0.57조 | 1,472만원 | 1,196세대 | 20년 05월 (5년차) |
3 | 운암동롯데캐슬 | 0.54조 | 997만원 | 1,490세대 | 06년 02월 (19년차) |
4 | 한양수자인리버뷰 | 0.49조 | 1,431만원 | 1,254세대 | 14년 05월 (11년차) |
5 | 벽산블루밍메가씨티3단지 | 0.46조 | 1,145만원 | 1,295세대 | 08년 08월 (17년차) |
6 | 첨단2지구중흥S-클래스 | 0.43조 | 1,592만원 | 784세대 | 15년 01월 (10년차) |
7 | 교대금호어울림 | 0.42조 | 1,527만원 | 876세대 | 17년 03월 (8년차) |
8 | 벽산블루밍메가씨티1단지 | 0.40조 | 1,132만원 | 843세대 | 08년 08월 (17년차) |
9 | 쌍용예가 | 0.39조 | 1,160만원 | 730세대 | 06년 08월 (19년차) |
10 | 힐스테이트본촌 | 0.38조 | 1,434만원 | 834세대 | 19년 09월 (6년차) |
북구에서 1위는 ‘제일풍경채센트럴파크1단지’로 시세 총액 약 6천 억원 정도 입니다.
북구 2024년 9월 시세 총액 기준
순위 | 아파트명 | 시세총액 | 평당시세 | 세대수 | 준공년월 |
1 | 제일풍경채센트럴파크1단지 | 0.64조 | 1,748만원 | 1,070세대 | 22년 02월 (3년차) |
2 | 힐스테이트연제 | 0.57조 | 1,467만원 | 1,196세대 | 20년 05월 (5년차) |
3 | 운암동롯데캐슬 | 0.53조 | 988만원 | 1,490세대 | 06년 02월 (19년차) |
4 | 한양수자인리버뷰 | 0.48조 | 1,424만원 | 1,254세대 | 14년 05월 (11년차) |
5 | 벽산블루밍메가씨티3단지 | 0.46조 | 1,141만원 | 1,295세대 | 08년 08월 (17년차) |
6 | 첨단2지구중흥S-클래스 | 0.42조 | 1,567만원 | 784세대 | 15년 01월 (10년차) |
7 | 벽산블루밍메가씨티1단지 | 0.40조 | 1,132만원 | 843세대 | 08년 08월 (17년차) |
8 | 쌍용예가 | 0.39조 | 1,155만원 | 730세대 | 06년 08월 (19년차) |
9 | 교대금호어울림 | 0.38조 | 1,391만원 | 876세대 | 17년 03월 (8년차) |
10 | 광주첨단2지구호반베르디움2단지 | 0.38조 | 1,529만원 | 728세대 | 13년 12월 (12년차) |
북구도 9월까지는 변화가 없습니다.
북구 2024년 7월 평당 시세 기준
순위 | 아파트명 | 시세총액 | 평당시세 | 세대수 | 준공년월 |
1 | 제일풍경채센트럴파크1단지 | 0.64조 | 1,745만원 | 1,070세대 | 22년 02월 (3년차) |
2 | 제일풍경채센트럴파크2단지 | 0.10조 | 1,600만원 | 267세대 | 22년 02월 (3년차) |
3 | 첨단2지구중흥S-클래스 | 0.43조 | 1,592만원 | 784세대 | 15년 01월 (10년차) |
4 | 첨단2지구제일풍경채 | 0.30조 | 1,591만원 | 613세대 | 14년 05월 (11년차) |
5 | 임동중흥에스클래스센텀파크 | 0.29조 | 1,538만원 | 598세대 | 21년 09월 (4년차) |
6 | 교대금호어울림 | 0.42조 | 1,527만원 | 876세대 | 17년 03월 (8년차) |
7 | 광주첨단2지구호반베르디움2단지 | 0.38조 | 1,524만원 | 728세대 | 13년 12월 (12년차) |
8 | 힐스테이트연제 | 0.57조 | 1,472만원 | 1,196세대 | 20년 05월 (5년차) |
9 | 삼각골드클래스 | 0.14조 | 1,458만원 | 327세대 | 18년 02월 (7년차) |
10 | 힐스테이트본촌 | 0.38조 | 1,434만원 | 834세대 | 19년 09월 (6년차) |
평당 시세 1위는 ‘제일풍경채센트럴파크1단지’로 1,745만원 입니다. 3위는 ‘첨단2지구중흥S-클래스’ 1,592만원 입니다. 그런데, 1위와 3위는 전혀 다른 생활권에 위치해 있습니다.
자세한 입지 분석은 ‘지역분석’ 카테고리에서 나중에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북구 2024년 9월 평당 시세 기준
순위 | 아파트명 | 시세총액 | 평당시세 | 세대수 | 준공년월 |
1 | 제일풍경채센트럴파크1단지 | 0.64조 | 1,748만원 | 1,070세대 | 22년 02월 (3년차) |
2 | 임동중흥에스클래스센텀파크 | 0.30조 | 1,582만원 | 598세대 | 21년 09월 (4년차) |
3 | 제일풍경채센트럴파크2단지 | 0.10조 | 1,574만원 | 267세대 | 22년 02월 (3년차) |
4 | 첨단2지구중흥S-클래스 | 0.42조 | 1,567만원 | 784세대 | 15년 01월 (10년차) |
5 | 첨단2지구제일풍경채 | 0.29조 | 1,532만원 | 613세대 | 14년 05월 (11년차) |
6 | 광주첨단2지구호반베르디움2단지 | 0.38조 | 1,529만원 | 728세대 | 13년 12월 (12년차) |
7 | 힐스테이트연제 | 0.57조 | 1,467만원 | 1,196세대 | 20년 05월 (5년차) |
8 | 삼각골드클래스 | 0.14조 | 1,444만원 | 327세대 | 18년 02월 (7년차) |
9 | 힐스테이트본촌 | 0.38조 | 1,434만원 | 834세대 | 19년 09월 (6년차) |
10 | 광주첨단2지구호반베르디움1단지 | 0.31조 | 1,426만원 | 635세대 | 14년 02월 (11년차) |
북구의 평당가도 9월까지는 큰 변화가 없습니다.
광산구 아파트 TOP 10: ‘24.7월 VS ‘24.9월
광산구 2024년 7월 시세 총액 기준
순위 | 아파트명 | 시세총액 | 평당시세 | 세대수 | 준공년월 |
1 | 힐스테이트리버파크 | 0.78조 | 1,923만원 | 1,109세대 | 19년 02월 (6년차) |
2 | 수완지구호반베르디움1차 | 0.71조 | 1,623만원 | 1,175세대 | 12년 07월 (13년차) |
3 | 해솔마을현진에버빌1단지 | 0.70조 | 2,238만원 | 669세대 | 09년 03월 (16년차) |
4 | 첨단호반리젠시빌 | 0.62조 | 914만원 | 2,146세대 | 03년 11월 (22년차) |
5 | 세계수영선수촌중흥S-클래스센트럴 | 0.60조 | 1,179만원 | 1,660세대 | 20년 03월 (5년차) |
6 | 광주수완코오롱하늘채 | 0.56조 | 1,734만원 | 737세대 | 08년 12월 (17년차) |
7 | 광주수완6차대방노블랜드 | 0.50조 | 1,905만원 | 659세대 | 13년 12월 (12년차) |
8 | 수완1단지중흥에스-클래스 | 0.49조 | 1,393만원 | 968세대 | 09년 05월 (16년차) |
9 | 성덕마을대방노블랜드5차 | 0.43조 | 1,672만원 | 545세대 | 11년 10월 (14년차) |
10 | 수완2차우미린 | 0.42조 | 1,416만원 | 866세대 | 08년 11월 (17년차) |
광산구에서 1위는 ‘힐스테이트리버파크’로 시세 총액 약 8천 억원 정도 입니다.
광산구 2024년 9월 시세 총액 기준
순위 | 아파트명 | 시세총액 | 평당시세 | 세대수 | 준공년월 |
1 | 힐스테이트리버파크 | 0.78조 | 1,924만원 | 1,109세대 | 19년 02월 (6년차) |
2 | 해솔마을현진에버빌1단지 | 0.72조 | 2,270만원 | 669세대 | 09년 03월 (16년차) |
3 | 수완지구호반베르디움1차 | 0.71조 | 1,622만원 | 1,175세대 | 12년 07월 (13년차) |
4 | 첨단호반리젠시빌 | 0.62조 | 914만원 | 2,146세대 | 03년 11월 (22년차) |
5 | 세계수영선수촌중흥S-클래스센트럴 | 0.59조 | 1,173만원 | 1,660세대 | 20년 03월 (5년차) |
6 | 광주수완코오롱하늘채 | 0.55조 | 1,696만원 | 737세대 | 08년 12월 (17년차) |
7 | 광주수완6차대방노블랜드 | 0.50조 | 1,905만원 | 659세대 | 13년 12월 (12년차) |
8 | 수완1단지중흥에스-클래스 | 0.49조 | 1,393만원 | 968세대 | 09년 05월 (16년차) |
9 | 성덕마을대방노블랜드5차 | 0.43조 | 1,672만원 | 545세대 | 11년 10월 (14년차) |
10 | 수완2차우미린 | 0.42조 | 1,417만원 | 866세대 | 08년 11월 (17년차) |
광산구도 9월까지는 변화가 없습니다.
광산구 2024년 7월 평당 시세 기준
순위 | 아파트명 | 시세총액 | 평당시세 | 세대수 | 준공년월 |
1 | 해솔마을현진에버빌1단지 | 0.70조 | 2,238만원 | 669세대 | 09년 03월 (16년차) |
2 | 힐스테이트리버파크 | 0.78조 | 1,923만원 | 1,109세대 | 19년 02월 (6년차) |
3 | 광주수완6차대방노블랜드 | 0.50조 | 1,905만원 | 659세대 | 13년 12월 (12년차) |
4 | 수완진아리채2차 | 0.10조 | 1,900만원 | 138세대 | 13년 12월 (12년차) |
5 | 은빛마을모아엘가 | 0.35조 | 1,769만원 | 570세대 | 09년 02월 (16년차) |
6 | 성덕마을대방노블랜드3차 | 0.36조 | 1,759만원 | 391세대 | 11년 07월 (14년차) |
7 | 광주수완코오롱하늘채 | 0.56조 | 1,734만원 | 737세대 | 08년 12월 (17년차) |
8 | 해솔마을대방노블랜드2차 | 0.27조 | 1,684만원 | 442세대 | 11년 06월 (14년차) |
9 | 성덕마을대방노블랜드5차 | 0.43조 | 1,672만원 | 545세대 | 11년 10월 (14년차) |
10 | 수완1차우미린 | 0.20조 | 1,666만원 | 366세대 | 08년 07월 (17년차) |
평당 시세 1위는 ‘해솔마을현진에버빌1단지’로 2,238만원 입니다.
시세 총액 1위(힐스테이트리버파크)와 평당 시세 1위(해솔마을현진에버빌1단지) 아파트도 서로 다른 생활권에 위치해 있습니다.
광산구 2024년 9월 평당 시세 기준
순위 | 아파트명 | 시세총액 | 평당시세 | 세대수 | 준공년월 |
1 | 해솔마을현진에버빌1단지 | 0.72조 | 2,270만원 | 669세대 | 09년 03월 (16년차) |
2 | 힐스테이트리버파크 | 0.78조 | 1,924만원 | 1,109세대 | 19년 02월 (6년차) |
3 | 광주수완6차대방노블랜드 | 0.50조 | 1,905만원 | 659세대 | 13년 12월 (12년차) |
4 | 수완진아리채2차 | 0.10조 | 1,900만원 | 138세대 | 13년 12월 (12년차) |
5 | 성덕마을대방노블랜드3차 | 0.36조 | 1,751만원 | 391세대 | 11년 07월 (14년차) |
6 | 은빛마을모아엘가 | 0.34조 | 1,735만원 | 570세대 | 09년 02월 (16년차) |
7 | 광주수완코오롱하늘채 | 0.55조 | 1,696만원 | 737세대 | 08년 12월 (17년차) |
8 | 해솔마을대방노블랜드2차 | 0.27조 | 1,684만원 | 442세대 | 11년 06월 (14년차) |
9 | 성덕마을대방노블랜드5차 | 0.43조 | 1,672만원 | 545세대 | 11년 10월 (14년차) |
10 | 수완1차우미린 | 0.20조 | 1,666만원 | 366세대 | 08년 07월 (17년차) |
광산구의 평당가도 9월까지는 큰 변화가 없습니다.
각 구별 아파트 시세 분석(일반)
각 구별 아파트 시세의 변동 양상을 일반적으로 분석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동구: 동구는 광주광역시의 중심지로서, 오래된 주택지와 새로운 아파트 단지가 혼재되어 있습니다.
최근 몇 년간 재개발과 재건축이 활발히 이루어지면서 시세가 꾸준히 상승하였습니다. - 서구: 서구는 상업과 주거가 조화를 이루는 지역으로, 특히 화정동과 치평동의 아파트 시세가 높게 나타납니다.
상무지구의 경우, 고급 아파트 단지들이 들어서며 시세가 가파르게 상승했습니다. - 남구: 남구는 상대적으로 저렴한 시세를 유지하고 있으나, 봉선동과 진월동은 꾸준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가족 단위 거주자들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 북구: 북구는 교육 인프라가 잘 갖추어져 있어 학군 수요가 많습니다. 특히 전남대학교 주변의 문흥동과 용봉동은 높은 시세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 광산구: 광산구는 최근 개발된 첨단지구와 수완지구를 중심으로 아파트 시세가 급격히 상승하였습니다. 특히, 첨단지구의 경우 첨단 산업단지와 인접해 있어 젊은 층의 수요가 높습니다.
광주 아파트 시세 전망(일반)
광주 아파트 시세는 향후 몇 년간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됩니다. 다음과 같은 요인들이 이를 뒷받침합니다:
- 지속적인 경제 성장: 광주광역시는 앞으로도 지속적인 경제 성장이 예상되며, 이는 아파트 수요 증가로 이어질 것입니다.
특히, 미래 자동차 산업과 에너지 산업의 발전은 지역 경제를 더욱 활성화시킬 것으로 보입니다. - 교통 인프라 개선: 광주광역시의 교통 인프라는 계속해서 개선될 예정입니다. 광주-대구 고속도로와 같은 대형 교통 프로젝트가 완성되면 외부 지역과의 접근성이 더욱 향상될 것입니다.
- 신규 아파트 공급 부족: 현재 광주광역시는 신규 아파트 공급이 제한적입니다. 이는 기존 아파트의 시세를 유지하거나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입니다.
- 교육 환경 개선: 교육 환경이 꾸준히 개선됨에 따라 학군 수요도 증가할 것입니다. 이는 교육 중심지인 북구와 남구의 아파트 시세 상승으로 이어질 것입니다.
결론
광주 아파트 시세는 경제 성장, 교통 인프라 개선, 교육 환경 등의 다양한 요인에 의해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의 상승세는 이러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며, 앞으로도 긍정적인 전망이 예상됩니다.
광주광역시에 거주하거나 투자할 계획이 있는 분들은 이러한 시세 변동 요인들을 잘 이해하고, 신중하게 접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광주광역시는 앞으로도 주거 환경이 더욱 개선되고, 아파트 시세도 지속적으로 상승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장기적인 안목을 가지고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서울이나 다른 지역 순위가 궁금하신 분들은 “트렌드” 카테고리를 확인 하시면 됩니다. 앞으로 전국 도시의 순위를 포스팅 하도록 하겠습니다.
첨부 파일 링크
구글 스프레드 시트로 작업 되어 있는 2024년 9월 기준 ‘광주광역시 아파트 TOP 50‘, ‘광주광역시의 구별 아파트 TOP 50‘ 입니다. 시세 총액과 평당가 기준으로 아파트와 세부 내용이 들어 있습니다.